티아라의 ‘보핍보핍’ gd와 top의 ‘하이하이’ 등도 모두 클럽을 배경과 주제로 하는 인기상품이다. 어느새 발라드는 사라지고, 하룻밤 쾌락을 찾는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클럽 음악이 가요 산업의 전반을 지배하고 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현 기획사 사장이나 제작자들 중 상당수가 어린 시절부터 클럽에서 놀면서 성장했고, 그 감수성으로 문화상품을 꾸준히 만들었기 때문이다. 클럽에서의 놀이를 상품화하려는 야심 찬 첫 시도는 2003년에 박진영이 제작한 <원투>의 첫 앨범 ‘자 엉덩이’였지만, 대중들에게는 외면받았다. 클럽에서 남녀가 즉석만남 하며 노는 것이 아직 그 당시에는 소수의 하위문화에 불과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클럽 문화를 공기처럼 호흡하며 성장한 제작자와 연예인들은, 10년 동안 클럽에서의 짜릿한 놀이를 꾸준히 상품화했다. 그 결과, 클럽은 청소년들에게 일상적 놀이 공간으로 인식되었고, 원나잇도 손가락질 받을 일이 아니라, 한 번쯤 해 볼 수 있는 일로 수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 결과, ‘트러블 메이커’와 같은 본격적 클럽 댄스도 별 저항감 없이 공중파에서 방송되는 성공적 상품이 되어 버렸다.
하룻밤 짝을 찾는 클럽의 음악과 댄스를 기획사가 대량생산 해내는 가장 큰 이유는 클럽 자본과 연예 자본이 협력적 공생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기획사는 섹시한 연습생을 제휴 관계에 있는 클럽에 풀고, 그 클럽 물 좋다는 소문이 나면, 고급차 가진 돈 많은 남자들이 몰려온다. 즉석만남 남녀가 술 마시고 대리운전 부르면, 어디로 가자고 말하지 않아도 클럽과 연계된 모텔로 간다. 기획사, 방송, 클럽, 대리운전회사 이 모두가 거대자본주의 네트워크 안의 협력 업체인 것이다.
이처럼 죽음의 문화는 돈을 중심으로 촘촘하게 그물을 치고 청소년들에게 접근하고 있다. 특정인들의 하위문화가 기획사를 통해 상품으로 생산되어 공중파를 타면, 그것이 꼭 해봐야만 하는 로망으로 인식된다. 공중파는 표현의 자유가 만끽 되어야 하는 공간이 아니라, 사회적 합의가 우선되어야만 하는 공공의 장이다. 구정물은 하수도로만 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