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 파시즘[Ecofascism]이란? [성체 훼손했던,극단 페미니즘 단체가 바로,에코파시(=에코 페미 )]
작성자
빛나는 구름
작성일
2018-08-03 02:59
조회
422
이번에, 이들 에코 파시 (뉴에이져)들이, 성체 훼손 모독에 이어, 천주교 성당을 불지르겠다고 선언 했었는데
반그리스도적 서구 오류 사조의 하나인 이들 에코 파시 특징을 누가 이미 알고 있다면, 비록 통탄이나, 이는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비록 참으로 통탄이나, 어머니인 지구!가 자연! 구호를 통해, 각종 이교사상 심취하며 가부장 이미지를 씌운 그리스도교와 인간을
(자연생태의) 주적으로 알고 있는지라
이는 자연스런...그들의 패턴이므로...
=============================================
에코 파시즘 eco-fascism 이란?
생태주의 결합사상 갈래로서, 서구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발생했던 에코 파시는,
원래가 반그리스도 뉴에이지 사상(생태중심주의 만유내재신론)이오며, 당연히 에코 페미니즘=즉 페미니즘의 한 갈래입니다만,
(비록 좌파지만 ) 극우 나찌처럼 전체주의 사상이며 에코 페미 중에, 아주 과격해서 그리 불리는 것입니다.
====================================
네이버 지식 백과 (철학사전, 2009., 중원문화)
에코파시즘 [Ecofascism]
[넓게는 지구], 좁게는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서는 어떤 희생도 마다하지 않는] 전체주의 사상.
역사적으로는 독일의 나치주의에서 그 연원을 찾아볼 수 있다. 나치스는 정권을 수립할 초기 단계부터 '동물보호법'(1933), '국가수렵법'(1934), '국가자연보호법'(1935) 등 환경을 배려한 법률들을 차례로 제정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동물학대를 금지하는 것에서부터 야생동물의 서식 환경을 지키기 위해서 관목숲이나 잡목림을 보호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까지 다방면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러한 나치스의 생태론적 이데올로기들은 유럽의 유대인 학살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영국의 현대사가 브롬웰(A. Bromwell)은 나치스가 대두되기 이전부터 [독일에 자연보호사상]이 있었고,
유럽 각국에서 일어난 또 다른 파시즘 체제에서는 나치스와 같은 자연 보호적 자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생태론이 파시즘의 본질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20세기 후반에 논의되는 [에코파시즘]은 [생태계 보호를 위해서는 인간마저도 배제할 수 있다]는
'생태중심주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간에 대한 지구의 우위를 강조]하면서 네오맬서스주의를 주장하는 캘리콧(J.B. Callicott, 1941~ ), 하딘(G.J. Hardin, ), [뉴에이지 그룹] 등도
에코파시즘 계열로 분류되기도 한다.
따라서 생태주의자들(환경보호주의자)이
지구적인 인구, 자원, 에너지 문제 등을 해결하려고 할 때, 인간혐오주의나 전체주의에 빠지지 않도록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 발췌 끝
반그리스도적 서구 오류 사조의 하나인 이들 에코 파시 특징을 누가 이미 알고 있다면, 비록 통탄이나, 이는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비록 참으로 통탄이나, 어머니인 지구!가 자연! 구호를 통해, 각종 이교사상 심취하며 가부장 이미지를 씌운 그리스도교와 인간을
(자연생태의) 주적으로 알고 있는지라
이는 자연스런...그들의 패턴이므로...
=============================================
에코 파시즘 eco-fascism 이란?
생태주의 결합사상 갈래로서, 서구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발생했던 에코 파시는,
원래가 반그리스도 뉴에이지 사상(생태중심주의 만유내재신론)이오며, 당연히 에코 페미니즘=즉 페미니즘의 한 갈래입니다만,
(비록 좌파지만 ) 극우 나찌처럼 전체주의 사상이며 에코 페미 중에, 아주 과격해서 그리 불리는 것입니다.
====================================
네이버 지식 백과 (철학사전, 2009., 중원문화)
에코파시즘 [Ecofascism]
[넓게는 지구], 좁게는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서는 어떤 희생도 마다하지 않는] 전체주의 사상.
역사적으로는 독일의 나치주의에서 그 연원을 찾아볼 수 있다. 나치스는 정권을 수립할 초기 단계부터 '동물보호법'(1933), '국가수렵법'(1934), '국가자연보호법'(1935) 등 환경을 배려한 법률들을 차례로 제정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동물학대를 금지하는 것에서부터 야생동물의 서식 환경을 지키기 위해서 관목숲이나 잡목림을 보호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까지 다방면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러한 나치스의 생태론적 이데올로기들은 유럽의 유대인 학살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영국의 현대사가 브롬웰(A. Bromwell)은 나치스가 대두되기 이전부터 [독일에 자연보호사상]이 있었고,
유럽 각국에서 일어난 또 다른 파시즘 체제에서는 나치스와 같은 자연 보호적 자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생태론이 파시즘의 본질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20세기 후반에 논의되는 [에코파시즘]은 [생태계 보호를 위해서는 인간마저도 배제할 수 있다]는
'생태중심주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간에 대한 지구의 우위를 강조]하면서 네오맬서스주의를 주장하는 캘리콧(J.B. Callicott, 1941~ ), 하딘(G.J. Hardin, ), [뉴에이지 그룹] 등도
에코파시즘 계열로 분류되기도 한다.
따라서 생태주의자들(환경보호주의자)이
지구적인 인구, 자원, 에너지 문제 등을 해결하려고 할 때, 인간혐오주의나 전체주의에 빠지지 않도록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 발췌 끝
아참 당연히 이들 에코 파시즘은
아래의 반그리스도 뉴 에이지 오류사상들-
융 심리학과 대지의 여신 가이아, 마녀주의 위카,등의 [남성체재 맞서는, 여성주의]를 통한
네오 페이건주의- 각종 반그리스도 모든 이교사상의 규합들
(아프리카 부족 샤먼 사상, 인디언 사상, 켈트 사상, 무속 사상 영지주의, 도교 선교 힌두 포함 )- 함께 하며
뿌리 기저 사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